본문 바로가기

Home366

글 하나에 80만원이라는 유혹의 덫 1.글 하나에 800만원의 수치가 보여주는 유혹 구지 5년전으로 돌아갈 필요는 없다. 그 당시 처음 접했던 글 하나에 200,300달러의 가치를 보여주는 블록체인 기반의 SNS 서비스인 스팀잇이라는 서비스는 현재도 존재하고 여전히 매니아층에서 활용되고 있다. 시총도 100위권 안이니 그래도 망한 프로젝트는 아니고 여전히 호흡중인 프로젝트다. (사람들의 관심은 많이 사라졌다.) ​ 2023년 10월 20일 기준 스팀잇의 메인페이지에서 상위 글 링크를 가져와봤다. 글 하나당 가치가 $600 부터 $453, 한국의 글 $230까지 다양하다. ​ 처음 이런 서비스를 접하면 굉장히 유혹이 된다. 글 하나를 썼는데 최소 $200이면 하루에 하나만 잘 써도 한달이면 $6,000이네? 라는 생각을 할수 밖에 없다. 그.. 2023. 10. 21.
백수도 할 수 있는 1억 벌기 1. 0원으로 시작을 했지만 결과는 1억 이 글은 처음으로 공개하는 이야기다. 워낙 이런 제목의 글이 낚시가 많기 때문에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글을 보게 되었다면 낚시가 아님을 먼저 밝혀둔다. 이 방법은 나의 과거 사례지만 현재도 물론 유용하다. 그럼 어떻게 난 0원으로 시작해서 실제 1억의 가치를 만들었는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 ​ 시기는 2019년으로 돌아간다. 그 당시 난 백수였고 뭐라도 해야 했다. 그래서 내가 처음 발을 들인 블록체인 분야에서 어떤 게 좋을까 여기저기 탐색을 하던 중이었다. 그러던 중에 아하라는 블록체인 기반의 지식인 답변 서비스를 알게 되었다. 네이버 지식인과 유사한데 보상을 아하라는 토큰으로 주는 서비스였다. 물론 그 당시 워낙 많은 블록체인 프로젝트들.. 2023. 10. 19.
비트코인 투자 VS 채권 투자 당신의 선택은? 1. 비트코인 탄생 이후 현재까지의 비트코인 차트 2. 비트코인 차트 VS 채권차트 3. 비관론이 극에 달할 때가 바로 매수 시점이다. (존 템플턴) https://youtu.be/qXpJ2h0u9Nc?si=JinwlQrlQ4l06FWf 2023. 10. 18.
비트코인 투자를 하면서 비트코인 백서를 아직 안봤다면... 많은 비트코인 투자자들이 비트코인에 대해서 정확히 알지 못한채 비트코인 투자를 하고 있다. 물론 비트코인 가격이 오를땐 상관없지만 비트코인 가격은 변동성이 심해서 왠만한 투자자들의 멘탈을 가만히 두지 않는다. 결국 비트코인의 핵심 가치를 이해하고 투자한 투자자들만이 승리하는 게임인데, 그럼 비트코인의 핵심가치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보통 주식을 투자하면 기본적으로 회사의 재무재표를 본다. 그런데 비트코인의 회사가 아니니 이러한 재무재표가 없고 분석의 대상이 마땅치 않다. 과연 그럴까? 그렇지 않다. 비트코인의 재무재표는 바로 백서다. 비트코인 백서는 비트코인을 창시한 사토시나카모토가 비트코인 개발전 비트코인에 대한 사업계획서와 같다. 비트코인의 비전, 비트코인의 설계 원리, 왜 비트코인이 지속가능한지에.. 2023. 10. 18.
디파이 투자 지금하기엔 늦었을까? 이 시장에 오래 있었던 분들이라면 디파이(탈중앙화 금융) 투자가 늦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미 디파이투자로 졸업한 분들도 꽤 있고 시장 자체가 기존에 있던 다양한 디파이 상품들이 다른 형태로 출시되는 것처럼보이 기도 하고 또 초반에 일찍 들어가지 않고는 수익구조가 없다는 걸 깨달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여전히 디파이투자만으로 수익을 내고 있는 분들이 주변에 꽤 있고, 이더리움뿐만 아니라 다른 레이어 1에도 하나둘씩 새롭게 등장하는 디파이들이 꽤 많이 있다. 그런데 단순히 숫자만 보고, 사람들이 한다는 걸 보고 투자를 하기엔 리스크도 크고 내가 뭘 하고 있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디파이의 생태계와 모든 것을 알 순 없지만 최소한 디파이의 원리와 생태계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그리고 앞으로 어떤 .. 2023. 10. 16.
코인 투자자인데 계속 손실이 발생한다면 반드시 봐야하는 글 나의 경우는 2018년 처음으로 비트코인을 알게 되었다. 투자를 처음 하게 된 건 비트코인이 아닌 이더리움이었고 그 당시 나는 비트코인을 소수점 이하로 살 수 있는지도 몰랐다. 그래서 비트코인이 비싸니깐 살 수 있는 이더리움을 선택했었다. 그 당시 이더리움의 가격은 20만 원 이하였다. 비트코인은 이더리움에 비해선 비쌌기 때문에 나는 이더리움을 선택했다. 그리고 그 당시 막 시작한 블록체인 비즈니스를 배워야 했기에 이더리움을 샀어야 하는 이유도 있었다. 그렇게 처음으로 코인투자도 해보고 블록체인 업계(?)에 발을 처음 들여놓게 되었다. 시작한 비즈니스는 여러 가지 이유로 얼마 하진 못했지만 그 기간 동안 많은 걸 배웠다. 비트코인의 단위조차도 몰랐던 나에게 짧은 기간 다른 세상에 대해서 눈을 뜨게 해주는.. 2023. 10. 11.
41. 투자자가 쉽게 놓치는 거품경제의 본질 자본주의를 유지하는 큰 힘중 하나는 본질에서 파생한 거품경제다. 거품경제 그것은 무엇일까? 실제일까 아니면 실제를 가장한 위장일까? 여러 가지 견해가 있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자본주의를 이끄는 큰 힘중 하나 중 하나가 거품경제라고 생각이 든다. 거품경제는 그냥 하나의 현상이 아닌 자본주의를 이끄는 큰 동력 중 하나라는 것이다. 사람들은 본질을 좋아하는 것 같지만 가만히 살펴보면 본질에서 발생한 현상들을 더 좋아한다. 최근의 명품 가방들을 보니 진짜와 짝퉁이 거의 구분이 가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진짜 명품을 산다. 왜 명품을 사는것일까? 명품의 재질, 성능 등이 좋아서일까? 그렇다기보다는 명품이 가져다주는 효과로 인해서 사는 게 더 맞는 거 아닐까? 일부 희긔한 명품들은 그것 자체로서 가치가 .. 2023. 10. 4.
40. 10년 이상 투자할 크립토 포트폴리오를 추천한다면? 2009년 1월 3일 비트코인의 첫 블록이 생성되었다. 즉 비트코인의 탄생은 2009년 1월 3일이다. 비트코인이 탄생 이후 가격이 형성되기까지는 꽤 시간이 걸렸지만 분명히 투자라는 관점에서 본다면 비트코인을 투자한 첫 시기는 2009년 1월 3일이 가장 정확한 시기다. 비트코인을 채굴로만 투자할 수 있었던 그 때로부터 14년 8개월이 지났다. 비트코인의 총공급량은 2,100만 개다. 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는 1,949만 개가 채굴되었으며 채굴 가능한 비트코인은 151만 개 정도 된다. 물론 비트코인 초기와는 달리 현재의 채굴은 채굴을 위해서 투자되는 비용과 수익측면에서 큰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의 채굴시스템은 여전히 많은 사업자들에 의해서 잘 운용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 .. 2023. 9. 26.
39. 당신의 자산은 분산되어 있나요? 수익을 보장하는 코인 투자의 원칙 전체 글 링크 분산투자의 중요성을 투자자가 모를 리 없다. 그런데 예상치 못한 경기침체에 이를 달성하는 투자자는 적다. 특히 지금과 같은 전반적인 경제침체시기에는 그 어떤 분산투자도 성공하지 못한다. 자산을 배분하여 투자한다고 하여 주식과 부동산 크립토등에 잘 분산하였더라도 모두 하락이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에서 분산투자가 아니다. 성공적인 분산투자는 했더라도 좀더 깊은 의미의 분산투자를 이제야 깨달을 수가 있다. 분산투자의 핵심은 나의 자산이 어떠한 상황에서도 최대한 리스크를 회피하는 전략이다. 즉 투자를 분산하는것보다 더 중요한 건 자산에 대한 하락을 회피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헷지'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미래에 발생할지도 모를 가격변동에 대비하는 전략이다. 그런데 .. 2023. 9. 12.